전기기능사 시험 일정 및 공부방법 가이드 (2025년 최신판)

 전기기능사 시험의 응시자격, 필기·실기 시험과목, 2025년 일정, 합격률, 공부순서 및 실습 준비 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했습니다. 전기분야 취업을 준비하는 초보자를 위한 완전 가이드입니다.


1) 자격 개요

전기기능사는 산업현장의 전기설비 시공·보수·운전 등을 수행할 수 있는
기초 전문기술 자격으로, **한국산업인력공단(Q-Net)**이 시행하는 국가기술자격이다.

전기분야로 취업하려는 고졸·전문대졸·기능직 지원자에게 필수 자격으로,
전기기사·산업기사로의 진입 기반이 되는 대표적인 기능사 등급이다.


2) 응시자격

  • 학력·연령 제한 없음

  • 누구나 응시 가능

  • 전공자·비전공자 모두 지원 가능

  • 필기 합격 후 2년간 실기 응시자격 유지

응시료:

  • 필기 14,500원

  • 실기 21,700원


3) 시험 과목 구성

① 필기시험 (객관식 4지선다형, 60문항, 60분)

과목주요 내용
전기이론전기의 기본원리, 옴의 법칙, 교류·직류회로
전기기기변압기, 유도전동기, 동기발전기 등 원리
전기설비기준배선공사, 접지, 전선 규격, 보호장치

② 실기시험 (필답 + 작업형, 약 4시간)

  • 배선도 해석 및 전기배선 결선 실습

  • 회로도 작성, 공구 사용법, 전선 피복 및 단자처리

합격기준: 필기·실기 각각 60점 이상


4) 2025년 시험 일정 (예정)

회차      원서접수       필기시험        실기시험      합격자 발표
제1회2025. 1. 8 ~ 1. 111. 27 ~ 2. 83. 10 ~ 3. 284. 4
제2회2025. 3. 12 ~ 3. 153. 30 ~ 4. 125. 13 ~ 5. 316. 6
제3회2025. 6. 18 ~ 6. 217. 6 ~ 7. 198. 18 ~ 9. 59. 10
제4회      2025. 9. 17 ~ 9. 20       10. 5 ~ 10. 18        11. 17 ~ 12. 5         12. 12

(출처: 한국산업인력공단 2025년 기능사 시험계획 공고 기준)


5) 공부 순서 가이드

권장 순서: 전기이론 → 전기기기 → 전기설비기준

  1. 전기이론

    • 기초물리와 전류, 전압, 저항 이해

    • 계산문제 연습 (옴의 법칙, 전력, 역률)

  2. 전기기기

    • 변압기, 발전기, 전동기 구조 암기

    • 도식문제 중심 학습

  3. 전기설비기준

    • 한국전기설비규정(KEC) 최신 개정사항 반영

    • 접지, 누전차단기, 배선 공사법 중심 학습


6) 실기시험 준비 방법

  • 실습 키트 구비 (전선, 차단기, 배선판 등)

  • 회로도 그리기 → 결선 순서 익히기 → 결선 실습 반복

  • 연습 횟수 최소 15회 이상 필요

  • 기본공구 숙련도 중요: 와이어스트리퍼, 니퍼, 플라이어, 멀티미터

  • 조립 후 전압 측정 및 동작 테스트까지 해야 완성

실기 팁

  • “조립 순서·시간 관리”가 합격의 핵심

  • 전선 단자처리 불량, 누락 시 감점


7) 합격률

  • 최근 3년 평균 합격률

    • 필기: 약 55~60%

    • 실기: 약 45~50%

    • 종합합격률: 약 40~45%

비전공자도 3개월 집중학습으로 충분히 합격 가능하며,
실기 연습량이 합격 여부를 좌우한다.


8) 자주 묻는 질문 (FAQ)

Q1. 비전공자도 가능한가요?
→ 가능하다. 기초회로만 이해하면 충분히 합격 가능하다.

Q2. 독학이 가능한가요?
→ 가능하지만 실습 장비 접근이 어려우므로 학원이나 공구실습 병행을 추천한다.

Q3. 필기와 실기 사이 기간이 짧은데 괜찮나요?
→ 필기 합격 후 바로 실기 준비를 시작해야 한다.

Q4. 자격증 취득 후 진로는 어떻게 되나요?
→ 전기안전관리자, 전기시공업체, 시설관리직 등 다양하다.

Q5. 자격증 유효기간은 있나요?
→ 평생자격증이며 갱신 절차는 없다.


9) 취업 분야 및 전망

  • 공장·건물·병원 전기설비 관리

  • 공공기관 시설관리직

  • 전기공사업체, 발전소, 산업현장

  • 전기기사 응시자격(1년 경력 후)으로도 활용 가능

초봉: 2,800만~3,200만 원
경력자: 4,000만 원 이상 가능

전망:

  • 전기안전법 강화로 자격보유자 수요 지속 증가

  • AI·전기차·스마트빌딩 확산으로 전문기술 수요 확대


10) 요약 정리

  • 전기기능사는 전기설비 설치·유지 전문자격증

  • 학력 제한 없으며, 필기·실기 모두 60점 이상 합격

  • 실기는 배선 실습 중심, 회로 이해와 숙련도 필수

  • 2025년 총 4회 시험 시행 예정

  • 자격 취득 시 전기안전관리 및 공공기관 취업 가능

댓글

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

예산 1박2일 여행 가이드 — 수덕사·예당호 출렁다리·덕산온천·슬로시티 코스 총정리

불닭볶음면 완벽 분석 — 탄생 비화·성공 전략·글로벌 인기·라인업·미래 비전 총정리

다도해 해상국립공원 여행 완벽 가이드|청산도·보길도·홍도·거문도·백도 명소, 신안 퍼플섬, 맛집·일몰·체험·코스

제52회 경주 신라문화제 2025 — 일정·장소·프로그램·체험·교통·맛집·야경 가이드

단양강 잔도 총정리|위치·가는법·가볼곳·먹거리·사진스팟·일몰코스 가이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