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인중개사 시험 일정 및 공부순서 가이드 (2025년 최신판)
공인중개사 시험의 1차·2차 과목 구성, 응시자격, 시험일정, 합격전략을 2025년 기준으로 정리했습니다.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는 공부순서와 과목별 학습팁까지 포함된 가이드입니다.
1) 제도 개요
공인중개사는 국토교통부가 인정하는 부동산 전문자격증으로,
부동산 거래를 중개하거나 컨설팅할 수 있는 전문 중개인 자격이다.
국가자격시험으로서 **한국산업인력공단(Q-Net)**에서 매년 1회 실시되며,
합격 후 개설등록을 통해 중개업소 운영도 가능하다.
2) 응시자격
-
학력, 나이, 경력 제한 없음
-
누구나 응시 가능 (단, 결격사유자 제외)
-
결격사유: 금고 이상의 형 집행 중 / 자격정지 기간 중인 자 등
응시료:
-
1차만 응시: 14,000원
-
1·2차 동시 응시: 28,000원
3) 시험 과목 구성
| 구분 | 과목명 | 문항수 | 시험시간 |
|---|---|---|---|
| 1차 | 부동산학개론(계산 포함), 민법 및 민사특별법 | 각 40문항 | 100분 |
| 2차 | 공인중개사법령 및 실무, 부동산공법, 부동산공시법령 및 세법 | 각 40문항 | 100분 |
총 문항: 240문항 (객관식 5지선다형)
합격기준:
-
과목별 40점 이상, 평균 60점 이상
4) 2025년 시험 일정 (예정)
| 구분 | 일정 |
|---|---|
| 원서접수 | 2025. 8월 초 (예정) |
| 시험일 | 2025. 10월 26일(토) |
| 합격자 발표 | 2025. 11월 26일(수) |
| 시행기관 | 한국산업인력공단(Q-Net) |
※ 매년 일정은 1~2주 내 차이가 있으며, 5월경 공식 공고 확인 필요.
5) 공부순서 가이드
효율적인 학습을 위해 1차 → 2차 순서로 학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.
① 1차 과목 (기초이해 중심)
-
부동산학개론: 이론 + 계산문제 병행
-
민법 및 민사특별법: 핵심 용어 암기 중심
② 2차 과목 (실무 중심)
-
공인중개사법령: 실무 절차 및 벌칙 중심
-
부동산공법: 암기량 많으므로 반복필수
-
공시법·세법: 계산 및 법령 숫자정리
권장 순서:
민법 → 부동산학개론 → 공법 → 중개사법 → 공시법 → 세법
6) 학습 기간 및 방법
| 구분 | 학습기간 | 특징 |
|---|---|---|
| 기본이론 | 약 4개월 | 개념 정립, 기초이해 |
| 심화이론 | 약 2개월 | 출제유형 분석, 개념보완 |
| 문제풀이 | 약 3개월 | 기출문제 반복훈련 |
| 모의고사 | 약 1개월 | 실전감각 훈련 |
총 약 9~10개월 준비기간이 적정하다.
직장인 기준으로는 **1년 플랜(주중 2시간+주말 6시간)**이 안정적이다.
7) 합격전략
-
과목별 60점 안정권 목표 (부분합격제도 있음)
-
기출문제 5개년 반복 학습
-
법령 변경사항(공법·세법 중심) 최신화 필수
-
“기출유형+빈출지문” 정리 노트 제작
-
모의고사 10회 이상 응시
8) 자주 묻는 질문 (FAQ)
Q1. 독학으로 합격이 가능한가요?
→ 가능하다. 단, 초보자는 온라인 인강 병행이 효율적이다.
Q2. 부분합격제도란?
→ 1차 합격자는 다음 해 2차 시험만 응시 가능하다.
Q3. 계산문제는 많나요?
→ 부동산학개론·세법에서 약 15~20문항 출제된다.
Q4. 교재는 어디서 구입하나요?
→ 큐넷 공인중개사 홈페이지 또는 주요 서점에서 전년도 교재 사용 가능.
Q5. 합격 후 바로 개업이 가능한가요?
→ 합격 후 중개사무소 개설등록 절차(관할 시·군·구청) 완료해야 가능하다.
9) 합격 후 진로
-
부동산 중개업소 개설 (개업공인중개사)
-
중개보조원·공인중개사무소 소속 근무
-
부동산 컨설턴트, 경매·분양·분석 분야 진출
-
부동산 관련 공기업·공무원 시험 가산점 활용 가능
평균 연봉:
-
개업공인중개사: 연 4,000~8,000만 원 (성과제)
-
신입 사무소 보조원: 연 2,800만~3,500만 원 수준
10) 요약 정리
-
공인중개사는 부동산 전문자격증으로 누구나 응시 가능
-
1차(학개론·민법), 2차(법·공법·세법) 구성
-
시험은 매년 10월 마지막 주 토요일
-
과목별 40점 이상, 평균 60점 이상 합격
-
기출 중심 반복과 법령 업데이트가 핵심
댓글
댓글 쓰기